반응형
후지시로 세이지 & 이동기 전시 완벽 가이드 | 북촌스페이스
이번 전시는 "일본매체예술 0세대와 한국을 대표하는 팝아트 1세대"라는 부제로, 대중문화와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두 작가의 작품을 만날 수 있습니다.
📅 전시 기본 정보
- 전시명: 후지시로 세이지 & 이동기 "진화의 교감과 소통의 미학"
- 전시기간: 2025년 8월 14일 ~ 2025년 12월 28일
- 관람시간: 10:00 - 19:00 (마지막 입장 18:00)
- 휴관일: 매주 월요일 (휴관일)
- 전시장소: 후지시로 세이지 북촌스페이스 (서울 종로구 계동길 92)
- 입장료: 1인 입장료 +음료 1잔 14,000원 (성인/아동청소년/영유아 공통)
🎟️ 얼리버드 티켓 정보
- 얼리버드 입장권 + 1 Free drink 10,000원
- 얼리버드 입장권 + 1 Free drink + 엽서/포스터 14,000원
- 얼리버드 입장권 + 1 Free drink + 엽서 + 북마크/마그넷 19,000원
🌟 전시 하이라이트: 두 거장의 만남
후지시로 세이지 (Fujishiro Seiji) 소개
"일본매체예술 0세대"의 대표작가 후지시로 세이지는 1924년 도쿄에서 태어나 현재 101세의 나이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그림자 회화의 거장입니다.
주요 특징:
- 1949년 요미우리신문사가 주최한 일본 앙데팡당전 첫회부터 몇차례 출품한 실력가
- 카게에(影絵) 기법으로 유명한 독창적인 작가
- NHK방송 개국 시절 방송에서부터 방송 콘텐츠 발전에 기여
- 21세기 현재까지도 활발한 창작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현역 작가
"고양이 뉴욕에 가다"
전시의 핵심 작품 중 하나인 "고양이 뉴욕에 가다"는 후지시로 세이지의 대표작으로, 뉴욕타임스가 극찬한 바 있는 작품입니다.
- 넓은 바다에 작은 섬이 있고, 그곳에는 다닥 마리의 고양이가 있습니다
- 계절 나이 어린 의나 고양이는 마리 부는 제주가 뭐어서 습니다
- 고양이들은 마리 소리에 맞춰 노래 부르기를 좋아했습니다
- 어느 날 멀던 칠을 실은 커다란 배가 섬에 도착했고, 이후 섞어는 가게가 하나 생겼습니다
이동기 작가 소개
"한국을 대표하는 팝아트 1세대" 작가로, 1967년생 이동기는 한국을 대표하는 팝아트 1세대 작가로 대중문화와 예술의 경계를 허물어왔습니다.
주요 특징:
- 아토마우스라는 상징적 캐릭터로 대중과 예술을 이어오는 독창적 작품 활동
- 일본 애니메이션 '아톰'과 미국의 '미키마우스'라는 대표적인 마스코트를 혼합
- 국경을 넘어 예술로 승화된 대중문화자로서 활동
- 순수한 영역 속에서도 인문을 끊임없이 하나로 연결하는 혁신적 화풍
"꽃밭, 2024"
후지시로 세이지에 대한 오마주 작품
- 이번 전시를 위해 특별히 제작
- 1948년부터 현재까지 양성한 작품을 이어오고있는 후지시로에 대한 깊은 경의와 예술적 대화
후지시로 세이지&이동기 전시 예매 바로가기
🎯 전시 테마: "진화의 교감과 소통의 미학"
- 후지시로 세이지의 카게에 작품군
- 빛과 그림자를 활용한 독창적 표현기법
- 인생 그 자체, 우주 그 자체를 담은 철학적 작품들
- 이동기의 팝아트 세계
- 아톰마우스 시리즈를 통한 현대적 해석
- 대중문화와 순수예술의 융합
📍 전시장소 및 주차안내
찾아가는 길
- 주소: 서울시 종로구 계동길 92
- 주차안내: 현대사옥 주차장 유료주차장 (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75)
- 전시문의: 02) 774-4980
대중교통 이용법
- 지하철: 안국역, 종로3가역 도보 접근 가능
- 버스: 북촌한옥마을 인근 정류장 이용
📸 이런 분들께 추천
- 🎨 미술을 사랑하는 모든 연령층
- 👨👩👧👦 가족 단위 문화 체험을 원하는 분들
- 💑 특별한 데이트 코스를 찾는 커플
- 📚 일본 문화와 한국 팝아트에 관심 있는 분들
놓치면 안 될 2025년 최고의 전시
후지시로 세이지 & 이동기 전시는 2025년 8월부터 12월까지 약 4개월 간 진행되는 장기 전시입니다.
101세의 거장과 한국 팝아트 1세대 작가의 만남이라는 흔치 않은 기회인 만큼, 미술을 사랑하는 분들에게는 꼭 추천하고 싶은 전시입니다.
예매는 미리, 관람은 여유롭게! 북촌의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 두 거장의 작품 세계에 빠져보는 특별한 시간을 만들어보세요.
반응형